알뜰폰, 별정통신이라고 해서 3사 통신사인 SKT, KT, LGU+를 제외한 통신사에 가입하여 사용하는 핸드폰을 말합니다. 알뜰폰 싼 이유가 있을까? 싸다고 해서 통화품질이 좋지 않을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기존 3사 통신사의 회선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화품질과 데이터를 통한 인터넷 사용에 전혀 문제가 없다. 아니 똑같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알뜰폰을 쓰는 이유?
너무 나도 저렴한 가격이 알뜰폰을 사용하는 이유이자 가장 큰 장점입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입장에서 데이터를 아무리 절약한다고 해도 카카오톡, 유튜브, 대중교통 어플, 지도 어플 등등 외출할 때 스마트폰을 통해서 인터넷을 할텐데 데이터를 마음대로 사용하지 못한다면 어떠세요? 너무 나도 불편할 겁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데이터가 큰 요금제나 무제한 요금제를 가입하여 사용합니다.
아래는 3사 통신사 중에서 가장 요금제가 저렴할 거 같은 LGU+ 그리고 알뜰폰 사업자 중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아이즈모바일의 요금제를 비교해 봤습니다. 어떤가요? 무제한 요금제임에도 불구하고 요금제 앞자리가 다릅니다.
알뜰폰이 요금제가 저렴한 부분 외에도 이전 유용하게 이용했던 부가서비스를 똑같이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가서비스의 종류로는 소리샘, 골키퍼, 번호변경 안내 문자 알림, 스팸차단 기능, 국제전화 발신제한 등이 있습니다. 또한 전철이나 공공장소에 위치한 3사 통신사 와이파이 사용 또한 가능합니다.
LGU+에서 그 외 모바일 요금제를 보고 싶다면 클릭! 요금제 페이지 안내해 드립니다.
아이즈 모바일 요금제가 궁금하다면 클릭! 알뜰폰 요금제 비교 가능한 페이지 안내해 드립니다.
알뜰폰 사업자별 가입자 순위표
3사 이동통신사 SKT, KT, LGU+에서 점점 알뜰폰 번호이동 가입자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연합뉴스에서 발행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한 알뜰폰 시장 점유율 확인해 보겠습니다. (해당 자료는 참고사항일 뿐 순위가 높은 곳에서 가입을 권하는 내용은 아닙니다.)
알뜰폰 사업자별 가입자 순위 | |||
순위 | 사업자 | 가입자수 | 비고 |
1 | 아이즈모바일 | 84만 명 | 중소사업자 |
2 | 헬로모바일 | 76.2만 명 | 통신사 자회사 |
3 | KT 엠모바일 | 73.4만 명 | 통신사 자회사 |
4 | 안심모바일 | 73.1만 명 | 대기업 계열 |
5 | SK텔링크 | 69.6만 명 | 통신사 자회사 |
6 | 유니컴즈 | 66.6만 명 | 중소 사업자 |
7 | 프리텔레콤 | 57.3만 명 | 중소 사업자 |
8 | 미디어로그 | 46.8만 명 | 통신사 자회사 |
9 | 이지모바일 | 43.3만 명 | 중소 사업자 |
10 | 에넥스텔레콤 | 42.3만 명 | 중소 사업자 |
개인적으로 알뜰폰을 사용을 위해 가격 비교를 하려면 아이즈 모바일, 고고 모바일과 같은 알뜰폰 플랫폼 회사에서 알아보시는 게 편합니다. 왜냐하면 말씀드렸듯 알뜰폰 회사들은 3사 이동통신사의 회선을 대여하여 사용하는데 SK망 , KT망, LGU+망을 한눈에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즈 모바일 경우 가입자가 많은 이유가 있지 않겠습니까?)
또한 알뜰폰의 경우 약정이 끝난 기기나 공기기에 유심을 사용해서 많이들 사용하는데 이러한 경우 저렴한 요금은 그대로, 약정 없이 사용하기에 언제든지 기기를 변경하고 해지할 수 있습니다.
알뜰폰 데이터 쉐어링 요금제
요즘 개인 핸드폰 1대 이외에 태블릿이나 세컨드으로 사용하는 핸드폰도 데이터 쉐어링을 통해 사용하실 텐데, 알뜰폰도 최대 3대까지 이용 가능한 데이터 쉐어링 요금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별도의 옵션 없이 그냥 요금제 선택으로 여러 기기에서 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쉐어링 이제 알뜰폰에서 저렴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뜰폰 단점은 뭐야?
기존 3사 이동통신사가 제공해주던 통화, 데이터, 부가서비스 등 부족할 게 없습니다. 그래서 알뜰폰을 찾아보시는 많은 분들이 궁금하실 단점, 무엇이 있을까요? 제가 생각했을 때 가장 큰 단점은 통신사 멤버십을 이용 못하는 것인데, 사실 많은 분들이 얼마나 멤버십 포인트를 이용하고 있으신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그 할인받을 돈으로 매달 통신비 아끼면 그런 단점 충분히 용서할 수 있습니다.
돌아다니면서 보셨겠지만 오프라인 알뜰폰 매장이 거의 없습니다. (지금은 모르겠는데 이전에 걸어가다가 헬로모바일 본 적 있는데 3사 이동통신사에 비하면 없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또한 고객센터가 아무래도 3사 통신사보다 원활하지는 못한 거 같습니다. 월요일 아침이나 상담 전화가 많으면 대기 시간이 상당합니다.)
마지막으로 알뜰폰 사용을 원한다면?
이전 2G 폰 사용 요금과 비교하면 스마트폰 요금제 너무 비쌈을 느낍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알뜰폰 요금제를 찾는 거 같고, 사실 멤버십 이용과 고객센터를 제외하면 큰 단점은 없는 듯합니다. 그리고 편의점에서 유심을 구매하여 직접 알뜰폰 가입부터 개통을 할 수도 있으니 요즘 같은 언택트 시대에 딱 맞는 콘셉트이지 않나 싶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편의점에서 5분 만에 개통이 가능한 알뜰폰 '셀프 개통'으로 사용자가 2배나 급증한 기사가 있는데 코로나 19 여파로 비대면 서비스가 확실히 영향이 큰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기존 사용하던 번호가 있다면 알뜰폰 신규가입보다 알뜰폰 번호이동이 간단하고 빠르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스터피자 매각 페리카나 인수 미스터피자 신메뉴? (0) | 2020.09.27 |
---|---|
갤럭시 S20 FE 스펙 비교 출시일 색상 가격 (0) | 2020.09.27 |
살코기 세대란? 살코기 세대 발생 배경 (0) | 2020.09.25 |
아이폰 12 미니 출시일 색상 가격 (네덜란드 기사) (0) | 2020.09.24 |
애플워치6 애플워치SE 국내 출시 사전예약 혜택 (0) | 2020.09.23 |